"소득이 있으면 국민연금 덜 받는 거 아니야?"
라는 궁금증이 생기셨다면, 지금부터 꼭 확인해 보세요!
예상수령액도 직접 조회해 보고, 불이익 없이 챙기는 방법도 알려드립니다.
자동목차
✅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"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"를 통해서 온라인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.
💡 국민연금, 소득이 있으면 줄어드나?
👨🏻🏫 결론부터 말씀드리면, 소득이 있는 상태에서 국민연금을 수령하면 ‘조정’이 있을 수 있습니다.
이를 '소득 재조정 제도' 또는 '조정지급제도'라고 하며, 노령연금 중 일부만 지급되거나, 전액 정지될 수도 있습니다.
📌 조정 대상이 되는 경우
- 조기노령연금 수령자(만 60세~64세)
- 월 소득금액이 일정 기준 이상일 경우
💡 기준: 월 284만 원(2025년 기준)을 초과하면 조정 대상이 됩니다.
단, 정기노령연금(만 65세 이상) 수급자는 소득과 관계없이 전액 수령 가능합니다.
💡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방법
👨🏻🏫 실제로 본인의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확인하고,
소득이 있을 경우 얼마나 조정되는지도 알아보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
✅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이용하기
-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접속
- 메인화면 상단 메뉴 → 전자민원 클릭
- ‘개인민원’ → 내 연금 알아보기 클릭
- 공인인증서 또는 공동인증서로 로그인
- 연금종류 선택 (노령연금, 조기노령연금 등)
- 예상수령액 자동 계산
- 💡 [소득 있는 상태 체크박스] 선택 시, 조정된 수령액도 확인 가능
💡 소득 있을 때 연금 줄어드는 기준은?
연령대 | 연금 종류 | 월소득 284만원 초과 시 |
만 60~64세 | 조기노령연금 | 일부 지급 또는 정지 가능 |
만 65세 이상 | 정기노령연금 | 전액 수령 가능 (소득 무관) |
- 소득이 높아질수록 조기노령연금의 감액률도 증가합니다.
- 하지만 정기노령연금 수령 연령에 도달하면 소득이 아무리 많아도 연금은 100% 지급됩니다.
💡 꿀팁! 이렇게 하면 손해 안 봅니다
✅ 연금을 조기수령할지, 정기수령할지 고민되신다면
국민연금 상담센터(1355)에 전화해서
상담받아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.
✅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1년에 1~2회 정기적으로 조회하면
퇴직, 소득 변화, 보험료 납입 상황 등을 기준으로
정확한 수령 예측이 가능해요.
✅ 국민연금 앱 ‘내 곁에 국민연금’을 설치하면
모바일에서도 간편하게 수령액 조회 및 납부 내역 확인 가능합니다.
💡 부부 모두 수령 시, 연금 겹치면 어떨까?
- 부부 모두 국민연금 수급자일 경우,
한쪽이 사망했을 때 유족연금과 본인의 연금을 일부 조정하여 지급합니다. - 본인 연금이 더 많으면, 유족연금 일부만 지급됩니다.
👉 이런 경우도 홈페이지나 앱에서 ‘연금 간 중복 수령 시 계산’을 따로 해볼 수 있어요.
💡 마무리하며
소득이 있다고 국민연금을 못 받는 건 아닙니다.
다만, 수령 시점이나 연금 종류에 따라
‘조정 대상’이 되는지 꼭 체크해야 해요.
직접 예상수령액을 조회해 보시고,
정확한 연금 전략을 세우는 게 중요합니다.
노후의 핵심 자산인 만큼, 한 푼이라도 놓치지 마세요!